본문 바로가기

의사이야기/[2010년] 본3 실습

어떤 의사가 될 것인가?

반응형
'넌 어떤 사람이 될래?'
어린 아이들에게 흔히 하는 질문이다.
'착한 사람이요' '훌륭한 사람이요' 등등.
전형적인 대답이 나오게 된다.

'넌 어떤 의사가 될래?'
의대생이라고 하면 99% 나오는 질문이다.
질문의 목적은 90%의 확률로 '어떤 과'를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한 10%만이 말 그대로 '어떤' 의사가 될 것인지를 묻는다.

위와 같은 질문에 많은 의대생들은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한다.
사실 정답이다.
상위 10%에 들지 않는 학생이라면 무슨 과에 갈지는 모르니깐.
꼭 성적이 문제가 아니더라도 의대 본과 1,2,3,4학년을 지나면서 원하는 과는 달라질 수 있으니깐.

살짝 삐져나간 글의 의도를 다시 돌려보자.
오늘 포스팅하고자 하는 글은 10%가 묻는 질문에 대한 것이다.
실습을 돌면서, 그리고 이런저런 선배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결국 '내가 원하는 과'가 아니라 '나한테 맞는 과'를 정하게 될 것 같으니깐.


요즘 드는 생각으로는 '지식'이냐 '사람'이냐를 두고 고민해야할 것 같다.
(물론 이 둘을 모두 겸비하면 '훌륭한' 의사가 되겠지만 내 능력 밖의 일이므로 패스.)

사실 사람들이 '의사'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원하는 것은 '지식'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의사는 '돌팔이'라고 부르며 아무도 가지 않을테니깐.
임상종합평가를 준비하면서 정말 많이 느낀 것이 '나는 아무것도 모르는구나'였다.
그래서 주변에서 묻는 많은 의학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은 '잘 모르겠습니다'이다.
그 사람들이 나의 말을 100% 신뢰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내가 100% 신뢰하지 않는 정보를 남들에게 뱉어버릴 수는 없는 노릇이니깐. (물론 가끔은 괜한 자존심에 50%의 신뢰도도 안되는 정보를 그냥 뱉어버리기도 한다.)
모든 학문이 그러하겠지만 의학만큼 많은 것을 알아야하는 학문이 있을까 싶다.
조선문화가 전공인 사학과 교수가 신라의 정치제도에 대해 틀린 말을 하면 '무식한 교수'취급을 받을 뿐이다.
하지만 비뇨기과가 전공인 의사가 stroke sign을 놓쳤다면 그는 (어쩌면) 형사고소가 될 수도 있다.
내 전공이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수준의 의학적 지식은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 '어느 정도 수준'의 양이 까마득하다.
나의 환상적인 장기 기억력을 감안하면 그 모든 것을 다 알고 있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그래서 선택하고자 하는게 '지식으로 무장한 의사'가 아니라 '사람을 챙기는 사람'이다.
정말 밑도 끝도 없는 구문이지만, 일단은 '사람을 챙기는 사람'이 되어보고자 한다.
'어떤 과'가 이런 구문에 맞는지는 두고 보면 알겠지?
반응형

'의사이야기 > [2010년] 본3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으로 환자와 싸우다.  (0) 2011.08.21
산부인과 외래 참관  (0) 2011.08.21
NSVD 처음 본 날!!  (0) 2011.08.21
분만 볼 기회를 놓치다.  (0) 2011.08.21
처음으로 C-sec 본 날  (0) 201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