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0)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국의 코로나 대응에 주목하는 이유 영국의 코로나 대응이 화제다.이탈리아, 스페인은 국가 자체를 봉쇄하면서 개개인이 집을 못 나오게 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데 반해,영국은 사람들의 모임 자체를 금지하지 않고 발열 혹은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그냥 집에서 최소 1주일 간 자가격리하라는 말만 했다.지역사회 감염이 이미 시작되었다면서 delay phase에 맞는 전술을 시행하겠다고 했다.영국 사람들은 물론 우리나라 사람들까지 이 조치에 대해 갑론을박 중이다.어떤 사람은 '영국 정부가 국민들을 버렸다'는 강한 표현까지 썼다.다른 나라는 모임을 다 금지하는데 국가가 나서서 스포츠 종목들의 중지를 강요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았다. 영국의 Chief science adviser인 Sir Patrick Vallan.. 대한민국은 코로나 초기 대응에 실패한 것일까? 대한민국은 코로나 초기 대응에 실패한 것일까? 초기대응에 실패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꼽는 것은 아마 중국으로부터의 입국제한을 안한 것일 것이다.입국제한을 안 했기 때문에 이렇게 70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지금 어떤 상태였다면 초기 대응에 성공했다고 평가할까? 중국으로부터의 입국제한을 하고 확진자 47명인 대만처럼 되면 성공했다고 평가할까?그렇다면 입국제한을 안했는데도 확진자 53명인 태국은 어떤가? (그 사람들이) 초기 대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 입국제한을 안했는데 확진자가 53명인 태국은 초기 대응을 잘한 것일까 못한 것일까? 입국제한을 하는 목적이 지역사회감염 확산을 늦추는 것이라면,우리나라가 중국으로부터의 입국제한을 하고 지금 확진자가 1000명(=미국)을 넘어.. 전염병 확산에 정부는 얼마나 책임이 있을까? 이탈리아는 오늘부로 전국민에게 불필요한 경우의 외출을 금지했다.특별한 일이 없는 한 밖에 나가서는 안되고 모든 유흥가들도 모두 폐쇄된다. 축구를 포함한 스포츠 경기들도 모두 열리지 않고 학교도 4월 3일까지 문을 닫는다. 이탈리아는 정부가 무엇을 못해서 이렇게 사망자가 폭발하는걸까?이탈리아 외에 요즘 프랑스, 스페인, 영국, 독일 등에서도 확진자 및 사망자가 폭발중인데 정부는 이것에 얼마만큼의 책임이 있을까?유럽 국가를 떠나 이란은? 이란은 현재 확진자 7,161명, 사망자 237명이다.이란은 정부가 무엇인가를 잘못해서 이렇게 된 것일까? 가장 중요한,우리나라는?우리나라는 정부가 잘못해서 확진자가 수천명인 것일까?몇몇 사람들이 주장하듯 초기에 중국에서의 입국을 봉쇄했으면 확진자가 이렇게 안 되었을까? 나.. 감염병 시 입국금지 각국 통계 기록 (2020년 3월 4일) 코로나19 관련해서 중국에서부터의 입국금지 및 자국민 격리를 했어야 하느냐는 문제는 여전히 논란이다.의사들 사이에서도 이 조치에 대한 찬반의견이 갈리고방역 담당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현재 예상으로는 이것은 그냥 신념의 문제이지 절대 정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그래도 기록을 위해 몇가지 정보를 남긴다. 1) 입국제한 조치를 취한 나라대만: 확진자 42, 검사자 12393미국: 확진자 118이탈리아: 확진자 2,502 2)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나라대한민국: 확진자 5,328, 검사자 108,293태국: 확진자 43일본: 확진자 293 현재까지 내 가설은입국제한 조치와 무관하게 지역사회 감염은 일어나며 숫자는 결국 운의 문제다.는 것. 입국제한을 지지하는 사람은 대만의 확진자 수를 지.. 요새 느낀 것 하나. 대한민국 사람들은 뼈속까지 사회주의자들이라는 것. 정부의 개입이 부족했다면서 비난한다.마스크 가격을 통제하지 못했다면서 비난한다.이런 목소리들이 자유주의를 주장하던 사람들 입에서 나오는 것이 너무 웃긴다. 알고 보면 이 나라는 태어날 때부터 사회주의자들이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우파가 가장 좋아하는 대통령 박정희 역시 잘 생각해보면 사회주의자다.본인은 사회주의에 반대한다고 말하는 사람들 역시 여러 이슈에 대한 태도는 사실 사회주의에 더 가깝다. 이 글을 쓰면서 마이클 브린이라는 사람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이 사람이 한 말이 내 생각과 많이 비슷하다. "한국은 표면적으로는 자본주의 국가였지만 현실적으로 강력한 중앙정부의 통제력을 수용한 면에서 사회주의 국가였다" 내 개인적인 사상은 자유주의가 제일 중요..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 - 정수일 아프리카 여행기면서 동시에 아프리카 현대사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책이다. 50년 전 중국 유학생, 또는 대사관 직원으로 저자가 겪었던 아프리카의 모습도 녹아있는 여행기다. 보통 여행기라고 하면 현재의 모습을 주로 보게 되는데 이 책은 과거의 모습 또한 같이 볼 수 있다.각 국가에 갈 때마다 외교부 홈페이지의 국가 개요처럼 그 국가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인상적이다. 대사관 직원으로 근무하던 습관이 남아있는 것일까?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주체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도 되었다. 그들이 어떻게 조국을 독립시켰으며 어떤 생각으로 국가를 운영했고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까지. 그들 대부분이 저자가 모로코의 중국 대사관에서 일할 때 가까이(?)에서 관심갖고 지켜보던 사람들이.. 만들기 쉽고 맛도 좋은 닭죽 레시피 1. 준비물 (2인분) 닭고기(닭가슴살 또는 닭다리살) 300g 내외각종 야채(당근, 양파, 감자, 애호박 등등)마늘치킨스톡찹쌀 1.5컵 2. 레시피1) 닭죽에 넣고 싶은 야채를 깍둑썰기 한다.2) 치킨스톡을 준비한다. 큐브형의 경우 냄비에 물 500cc와 함께 넣고 끓이고 액체형의 경우 500cc 기준으로 준비한다.3) 쿠쿠 전기밥솥에 찹쌀을 1.5컵 넣는다. (밥솥 계량컵 기준)4) 그 위에 준비한 야채를 넣는다.5) 닭고기를 가위로 잘게 썰어 넣는다.6) 마늘을 깐 상태로 넣는다.7) 치킨스톡을 넣고 영양죽 1.5인분까지 물을 넣어 양을 맞춘다.8) 쿠쿠 전기밥솥 영양죽 모드로 돌린다. (85분 정도 소요됨) 완성. 지킬 수 있는 말만 하는 정치인은 없을까? 요새 많이 느끼는 게 자기가 그 자리에 가서 할 수 없는 얘기는 안하는 게 낫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 대통령은 야당 대표 시절 당시 정부의 메르스 방역에 대해 어마어마한 비난을 가했다.당시 정권이 대응을 잘못한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자체가 그런 질병에 대해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그러나 당시 야당은 이것을 정치 문제로 끌고 가서 당시 정권을 극심하게 비난했다. 그것이 이제 부메랑이 되어서 돌아오고 있다. 현 야당은 정부를 향해 중국(인?발?) 입국 제한을 지금이라도 시행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역대 정부 중 전염병을 사유로 특정 국가에 대해 전면적인 입국 제한을 시행한 적이 없다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에볼라 등등 지난 십수년간 수많은 전염병들이 전세계를 휩쓸었는데대한민국 정부는 단 ..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3 다음